인문학의 즐거움은
[스크랩] 칸트의 종교관
뽀종이
2009. 1. 23. 08:35
- 근본적인 의문 - 종교인들의 주장은 얼마나 신빙성이 있을까?
- 고대 세계에서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나 어거스틴 같이 확신하는 유형
- 고대의 회의주의자 프로타고라스 - 신들에 관해서 나로서는 그들이 존재하는지 또는 존재하지 않는지를, 또한 그들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를 알 길이 없다. 왜냐하면
- 그 문제 자체의 불분명함과
- 인생의 짧음을 포함하여, 많은 장애들이 있기 때문이다.
- 경험의 중시
- 데카르트의 확실성에의 추구
- 흄의 회의주의
- 인식의 원천은 경험 뿐이다.
- 인상
- 관념
- 정당한 인식은 a.와 b.에 근거를 가져야만 한다.
- 이 기준으로 우리가 확실하다고 여기는 것들을 검토 - 모든 형이상학적인 주장들의 진위가 의심스럽다. - 극단적 회의주의
- 인식의 원천은 경험 뿐이다.
- 칸트의 극복
- 칸트 논의에서 칸트가 그 자체로 이러한 종교철학을 전개했다기 보다는 칸트 철학을 이용할 경우에 이러한 종교철학을 전개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려고 한다. 다시 말해서 수업시간에 하는 내용이 곧 칸트가 한 말이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칸트의 인식론을 이용한다면 예컨대 '기도해서 병 낫는다'는 식의 현상을 이제까지의 설명과는 다른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된다.
- 코페르니쿠스적인 전환 - 주관이 객관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객관이 주관을 따른다
- 칸트의 주장 자체는 존재론 수업을 참고할 것.
- 기준은 경험에 얼마나 맞느냐 보다 그 원리의 '단순함' 내지 '아름다운'
- 새로운 발상을 통한 과학의 파라다임의 변환
- 주관의 보편성을 통해서 자연과학적 인식의 확실성을 보장
- 인식의 경험 내에 갖힘
- 경험을 넘어서는 어떠한 것도 인식이 될 수 없다.
- 안티노미 현상
- 종교에 대한 과학주의의 문제
- 이성을 종교적인 문제에 있어서도 최종의 권위로 생각
- 이신론(理神論) 문제
- 이성의 검증에 부합하지 못한 것은 모두 일종의 '정서적 반응'으로 치부
- 진위판별이 불가능하다?
- 모든 포교적 열심은 사생활의 침해이다?
- 이성을 종교적인 문제에 있어서도 최종의 권위로 생각
출처 : 반석의 신앙 따라잡기
글쓴이 : peterban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