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보 김기창 화백의 생애와 그림 1957년 미국 뉴욕 월드하우스 화랑 주최 기독교 한국 현대작가전에 초대 출품했다. 1960년 국전 초대작가가 되어 국전 심사위원을 역임하고, 타이베이(台北)와 홍콩에서 열린 한국미술전에 출품했고 이어 도쿄(東京)·마닐라에서 열린 한국미술전에도 출품..
종교중독, 정신증 종교도 잘못하면 중독이 될 수 있다. 종교는 아편이라고 비난하는 공산주의자들만의 소리가 아니다. 우리가 우리에게 하는 소리다. 겸허히 자신을 돌아보며 우리에게 주는 교훈으로 받아들여야 할 말이다. 우린 지금 종교중독에 빠져있는가 아니면, 멋진 신앙생활을 잘..
'친근한 이단' vs '낯설은 교회' 프리즘 [2957호] 2014년 탁지일 교수 구원파를 통해 한국교회를 바라본다! 하나... 구원파에 대한 한국사회의 비판이, 한국교회에 대한 지지를 의미하지 않는다! 구원파를 향한 비판들이 언제 부메랑이 되어 한국교회를 향할지 모른다. 한국교회의 부정적인 요..
정경 1. 정경(Canon)의 개념과 '정경 문제'의 중요성 정경이라는 말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가? 주후 4세기 정경이라는 말이 사용되었다. 4세기에 교회는 정경의 경계를 정하거나 경경 속에 들어갈 책을 선발 완료하지 않았다. 이미 오래 전부터 교회 안에서 권위를 가지고 있던 것들을 확인..
'천주교와 기독교(개신교회)가 다른 37가지 이유' 이 글은 '천주교와 기독교가 다른 37가지 이유'(릭 존스, 말씀과 만남)를 중심으로 하였습니다. 저자는 카톨릭의 독실한 신자였지만 구원의 확신을 얻지 못해 기독교로 개종한 후 카톨릭을 비판하는 책을 썼습니다. 37가지 이유 중에 '자만..
한국교회사(요약정리) 서론 : 지난 2세기 동안 세계 사조, 특별히 기독교 사상은 역사상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는 격변의 변천 과정을 거쳐왔다. 서구는 찰스 다윈의 진화론이 역사에 등장하면서 종교를 시대적 역사적 산물로 보려는 움직임이 기독교계 일각에서 일어나 종교 진화론과 종..
이승훈 ● 세계 기독교 선교 역사 상 우리나라 기독교 역사의 특징 중 하나는, 천주교와 개신교 모두 조선의 자생적인 기독교인에 의해 최초로 복음이 전해졌다는 것이다. 다시말해 우리 한국 교회는 외국 선교사에 의한 기독교 확장의 역사가 아니라 자체적으로 복음이 전수된 자생적인..
이용도 목사(1901-1933) 도포 입고 '조선식 믿음' 말하다 -한국기독교 120년 숨은 영성가를 찾아…'예인 목사' 이용도 - 서울 서대문구 신촌 연세대 뒷산 기슭. 한국 문화와 기독교를 접목시킨 원로 신학자 유동식 박사(85·전 연세대 교수)의 자택 마당에 들어서니 담에 잇대어 있는 산기슭과 ..